서울 부동산 시장이 심상치 않다. 작년 8월 이후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이 전국 1위이다. 이처럼 최근 집값이 크게 오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수요공급 측면에서 접근해보자.
수요 공급이란 무엇인가요?
수요란 일정기간동안 특정 재화나 서비스를 원하는 욕구이고, 공급이란 일정기간동안 상품을 판매하려는 욕구입니다. 즉, 수요량과 공급량 사이의 차이가 발생하면 가격이 결정되고 균형점에서는 거래량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경제학에서의 수요-공급 곡선은 우하향 하는 형태를 띕니다.
왜 서울 아파트값이 폭등하나요?
앞서 설명했듯이 우리나라 전체 주택시장 중 약 70% 이상이 아파트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는 특히 서울아파트 값이 오를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정부 정책상 다주택자들이 세금부담 등으로 인해 매물을 내놓으면 자연스럽게 매수자가 많아져 가격이 하락해야하는데 오히려 매수세가 강해져 가격이 오르고있습니다. 결국 사람들이 선호하는 곳일수록 비싸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부정책으로는 한계가 있다. 근본적인 원인인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리인상밖에 없는데 과연 한국은행이 이를 수용할지 의문이다.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서는 대출규제 강화 및 보유세 인상 등 강력한 규제책만이 유일한 방법이기에 당분간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